북한 이야기

💰 북한 vs 한국 생필품 가격 비교 – 같은 물건, 다른 세상?!

얼고버섯 2025. 5. 1. 18:52
728x90
반응형

우리가 매일 쓰는 물건, 북한에서는 얼마일까?

당연하게 여기는 생필품 가격.
편의점에서 사는 물 한 병, 샴푸 한 통, 휴지 한 롤.
하지만 북한에서는 이런 물건의 가격이 전혀 다르게 느껴져요.

심지어 한국보다 비싼 경우도 많고,
일반 주민들이 거의 못 사는 생필품도 존재합니다.

오늘은 북한과 한국의 대표 생필품 가격을
하나하나 비교해볼게요.


📦 비교 기준 안내

  • 한국 기준: 대형마트/편의점 평균 소매가 (2025년 기준)
  • 북한 기준: 탈북자 증언, 국제기관 보고서, 위조불가 외화시장 환율 (USD) 기준 추정
  • 1달러 = 1,300원 기준

※ 북한 내 원화는 환율·시장에 따라 급변함. 실제 가격은 지역/계층에 따라 차이 있음


🍜 식품 가격 비교

품목한국북한 (달러 환산)특이사항
생수 (500ml) 900원 약 1,500원 북한은 생수를 사 마시는 문화 없음. 외국산은 고급품
라면 1개 1,200원 약 3,000원 수입품은 평양 백화점에서만 구입 가능
설탕 1kg 2,000원 약 5,000원 대체로 배급 외 시장에서 고가 거래
고기 (돼지고기 1kg) 13,000원 약 40,000원 평양 중심 외 지역에서는 거의 못 먹음
커피믹스 1봉 120원 약 800원 ‘신기한 외국 음식’ 취급, 일부만 소비 가능
 

💡 북한에서는 수입식품은 고급 사치품으로 여겨져요.
시장이나 외화 상점에서만 구할 수 있고,
대부분은 김일성 생일 같은 ‘명절 선물’ 수준이에요.


🧴 생활용품 가격 비교

품목한국북한 (달러 환산)특이사항
칫솔 1개 1,000원 약 2,500원 국산은 저품질, 수입품은 사치품
치약 1개 1,800원 약 4,000원 ‘은하수 브랜드’ 사용 빈도 높음
샴푸 500ml 7,000원 약 12,000원 ‘봄향기 샴푸’ vs 중국산 수입품 인기
화장지 1롤 1,200원 약 3,000원 공공기관 제외 개인은 잘 사용 안 함
비누 1개 1,000원 약 2,000원 비누 품질은 차이 큼. 향은 거의 없음
 

💡 북한의 위생용품은 배급과 시장 격차가 극심해요.
지방의 경우 물과 비누 자체가 귀한 자원이기도 하죠.


👕 의류·잡화 가격 비교

품목한국북한 (달러 환산)특이사항
양말 1켤레 1,500원 약 3,000원 중국산 많음. 뒷면에 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’ 없음
속옷 1벌 5,000원 약 8,000원 고급 속옷은 평양에만 유통
운동화 1켤레 35,000원 약 60,000원 일부 러시아·중국 브랜드도 유통됨
겨울 점퍼 80,000원 약 180,000원 외화 전용 매장에서만 구입 가능
학생 교복 1벌 120,000원 약 300,000원 일부는 유상 배급. 맞춤 제작 필요
 

💡 북한에서는 옷이 ‘패션’이 아닌 ‘계급 구분 도구’로 쓰이기도 해요.
핵심 계층, 군인 자녀, 고위층 자녀는 입는 옷 자체가 다릅니다.


💬 “비싸서 못 사요” vs “있어도 못 사요”

한국에서 비싸다고 느끼는 물건들도,
북한에서는 돈이 있어도 살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.

왜냐면:

  • 외화만 받는 상점이 많고
  • 판매처가 평양 등 제한 지역에만 존재
  • 일반 시장에서는 품질이 매우 낮거나 불법제품 존재

💡 예를 들어, 북한에서 ‘수입 초콜릿’을 사려면
외국 돈(달러·위안화)과 입장 허용증이 있어야 해요.
즉, 돈 + 신분 + 위치 모두 있어야 진짜 소비가 가능한 거죠.


🎯 북한 주민 평균 월급은?

  • 북한 공무원 평균 월급: 약 3,000~8,000원 (한화 기준)
  • 공장 노동자: 약 1,000~3,000원 수준

❗ 문제는 이 월급으론 생필품 거의 불가능!
그래서 대부분의 주민은 암시장/장마당/물물교환 등을 통해 생존하고 있어요.


✅ 정리하면

  • 북한의 생필품 가격은 절대적으론 저렴하지 않지만,
    실제 구매력 대비 **‘극단적으로 비싸다’**는 게 핵심
  • 제품 자체보다 접근성, 신분, 유통 구조가 문제
  • 한국에선 평범한 물건도, 북한에선 사치품 or 국가통제 물자

🧠 오늘의 북한 경제 퀴즈!

❓ 북한에서는 어떤 화폐로 백화점 물건을 살 수 있을까요?

① 북한 돈
② 외화 (달러·위안화)
③ 물물교환

정답은 댓글로 남겨줘요 💸


💬 다음엔 어떤 비교 콘텐츠가 궁금해요?

  • 북한과 한국의 스마트폰 차이?
  • 학생들의 하루 일과?
  • 인터넷 사용 방식 비교?

댓글로 알려줘! 다음 글로 만들게 😊


🔗 참고 자료

  • [2024 세계경제포럼 북한 보고서 요약]
  • [탈북자 증언 모음집 – 생필품 이야기편]
  • [북한 장마당 실제 인터뷰 – 자유아시아방송(RFA)]
728x90